정부 지원금 + 대출 조합으로 내 집 마련한 현실 이야기
(feat. 디딤돌대출, 보금자리론 꿀팁)
요즘 부동산 이야기만 나오면 한숨부터 나오는 분들 많죠. 저도 그랬어요.
“월세는 아깝고, 전세는 불안하고, 매매는 꿈도 못 꾸겠고…”
그런데 정말 우연히, 청약에 붙고 정부지원 대출을 받으면서
생애 첫 내 집 마련에 성공하게 됐습니다.
오늘은 그 과정을 진짜 현실적으로,
정부 지원금 + 대출 조합으로 집을 산 이야기를 공유해보려고 해요.
시작은 단순한 궁금증에서
"신혼부부 특별공급이라는 게 있다던데 진짜 당첨될 수 있을까?"
이 생각이 시작이었어요. 저희는 결혼 5년 차 무주택 부부였고, 청약통장은 10년 이상 꾸준히 넣고 있었거든요.
어차피 전세도 부담되던 시기였고, 뭐라도 해보자는 심정으로 신청했는데
신혼희망타운 특별공급으로 덜컥 당첨이 된 거예요.
그때부터 정신없이 달렸습니다.
문제는 돈, 대출을 알아보기 시작하다
당첨은 됐지만, 분양가는 5억 6천만 원.
이제는 수도권 신축이 이 정도 가격은 기본이더라고요.
계약금으로 10%인 5,600만 원을 납부하고 나니,
중도금 + 잔금 마련이 본격적인 과제였습니다.
중도금은 건설사 연계 금융사를 통해 진행됐고,
잔금은 정부지원 대출(디딤돌 or 보금자리론) 중 뭘 쓸지 고민하게 됐어요.
디딤돌대출, 신혼부부에게 유리한 조건
이자 부담이 제일 컸는데, 은행 상담을 3군데 이상 다녀보니
신혼부부이면서 소득이 연 7천만 원 이하인 저희는
디딤돌대출이 가능했어요.
디딤돌대출 조건 요약
- 무주택자
- 연 소득 부부합산 6천만 원 이하 (신혼부부는 7천까지 허용)
- 주택가격 5억 이하 (※ 이게 핵심)
- 전용 85㎡ 이하
→ 아쉽게도 저희 집은 5억 6천이라 조건을 넘어서 탈락…
그런데 보금자리론은 가능했습니다!
보금자리론으로 대체, 조건은 조금 여유 있음
보금자리론은 디딤돌보다 조건이 느슨한 대신 금리가 약간 높아요.
하지만 고정금리로 안정적이고, 생애최초나 신혼부부는 추가 우대도 있죠.
보금자리론 주요 조건
- 무주택자
- 연 소득 부부합산 7천만 원 이하 (맞벌이는 1억까지)
- 주택가격 6억 이하까지 가능
→ 5억 6천인 우리집은 여기엔 해당!
은행 추천으로 보금자리론 중에서도 신혼부부 전용 우대형을 신청했어요.
1억 5천만 원 정도 대출 가능했고, 금리는 연 2.9% 고정.
실제 자금 계획 정리 (5억 6천 기준)
항목 | 금액 |
분양가 | 5억 6천만 원 |
계약금 (본인 자금) | 5,600만 원 |
중도금 대출 (60%) | 약 3억 3천만 원 |
보금자리론 잔금 대출 | 약 1억 5천만 원 |
본인 추가 부담 | 약 3천만 원 (옵션, 취득세 등) |
실제로 저희가 현금으로 준비한 건 약 9천만 원 정도.
그 외에는 전부 정부 대출과 중도금 대출로 해결했어요.
겪어보니 이런 꿀팁은 꼭 알아두세요
- 마이홈포털 필수 방문!
디딤돌/보금자리 자격 여부부터 금리 계산까지 한 번에 가능해요. - 보금자리론은 은행마다 조건이 살짝 달라요.
상담 2~3군데는 꼭 받아보세요.
(저는 우리은행, NH농협, 카카오뱅크 이렇게 다녀봤어요.) - 전용면적 85㎡, 분양가 6억 원 이하 여부에 따라 대출 가능 여부가 갈립니다.
→ 이 기준 넘기면 대출 자체가 안 나올 수 있어요.
청약 당첨됐다고 해서 끝이 아니고, 그 다음 자금 계획이 정말 중요해요.
처음엔 분양가 5억 6천이라는 숫자에 겁부터 났지만,
디딤돌·보금자리론 같은 정부 대출을 활용하니
충분히 현실 가능한 금액이 되더라고요.
특히 신혼부부나 청년층이라면 지금 이 제도를 최대한 활용해보세요.
시간이 지나면 이 혜택도 줄어들 수 있으니까요.
지금도 내 집 마련은 불가능한 꿈이 아니에요.
조건을 꼼꼼히 따지고, 대출 전략을 세우면
생애 첫 내 집, 우리도 가질 수 있습니다.
'부동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청약 가점은 몇 점일까? 2025년 하반기 분양 캘린더와 함께 전략 세우기 (29) | 2025.08.01 |
---|---|
2025년 아파트 청약제도 변경사항 총정리 – 실수요자라면 꼭 알아야 할 것들 (37) | 2025.08.01 |
2025년 7월 이후 부동산 시장, 기회인가? 불안인가? (16) | 2025.07.28 |
2025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 아파트값 상승 vs 전세가 하락기회 (16) | 2025.07.27 |
지역별 재개발·재건축 투자 포인트 (서울·수도권 중심) (14) | 2025.07.27 |